주식 책 딱 한권 보고 궁금한 점을 찾아보았습니다.
가장 궁금했던 것은 ‘체결은 어떤 순서대로 되는 것인가?’였습니다.
주식 매매의 체결의 4원칙
주식 체결의 기본 원칙은 매수와 매도가 함께 있어야한다는 것. 즉 매수하고 싶다면 이와 반대로 매도해야하는 물량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매수 물량 자체가 일정하지 않으니 매수와 매도가 경쟁하는 구조를 띄게 됩니다.
때문에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 체결 원칙을 마련해놓았는데 가격, 시간, 위탁자, 수량 우선의 원칙입니다.
1. 가격 우선의 원칙
가격 우선의 원칙은 매수호가의 경우에 가격이 높은 호가가 가격이 낮은 호가에 우선한다는 원칙입니다.
이 원칙은 다른 원칙들보다 우선되는 가장 최우선위의 원칙입니다. 매수는 호가가 높을수록, 매도는 호가가 낮을수록 우선체결 됩니다.
현재 삼성전자 주가가 7만원이라면?
A 투자자 : 69,900원 매수 주문
B 투자자 : 69,800원 매수 주문
> 가격 우선의 원칙에 따라 A 투자자 우선 체결
2. 시간 우선의 원칙
가격이 동일한 호가간에는 먼저 접수된 주문이 나중에 접수된 주문보다 우선한다는 원칙입니다.
3. 위탁자 우선의 원칙
증권사는 기본적으로 개인과 회사를 중개하는 위탁을 하지만, 증권사 자체가 투자 주체가 되어 직접 매매하기도 합니다.
이 원칙은 증권사의 자기 매매보다 개인들의 위탁 매매를 우선으로 체결한다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증권사의 자기매매보다 일반 주주와 투자자의 주문을 우선한다는 원칙입니다.
4. 수량 우선의 원칙
만약 위의 3원칙이 모두 동일하다면 주문 수량이 많은 주문이 우선하게 됩니다.
삼성전자가 현재 7만원 호가일 때
A 투자자 : 7만원에 10주 주문
B 투자자 : 7만원에 100주 주문
> B 투자자의 100주 주문이 우선 체결
주식 시장에서 시간 우선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상황이 있는데, 바로 동시호가입니다.
동시호가에 들어간다라고도 하는데, 동시호가는 장전 30분, 장마감 10분전인데, 이 때 접수된 주문을 모두 같은 시간에 접수되는 주문으로 봅니다.
동시호가의 우선순위 규정이 있습니다. 그치만.. 복잡하기도 하고 저는 이 시간대에는 안할거기에.. 패스합니다..ㅎㅎ 알아보니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이 어렵네요.
앞으로 주식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어떤 기준으로 매매를 할지, 소액으로 단타를 해보고 매매일지를 작성해볼까 합니다.
가장 중요한건 역시 마인드 컨트롤이겠지요? 이미 삼전때문에 철렁한 마음이 있기는 하지만.. 이제 덤덤해진것 같기도합니다.
첫 시작은 소량으로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주식 공부는 해도해도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쭉 해나갈 수 있길..